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철 거래 부가세 신고|매입자 납부특례·기납부세액까지 완벽 정리

by 13241 님의 블로그 2025. 8. 18.

고철이나 폐지, 중고품 거래에서는 일반적인 부가세 처리 방식과 조금 다른 매입자 납부특례 제도가 적용됩니다. 이 제도는 거래 당사자 모두에게 중요한 세무 절차이므로, 헷갈리지 않게 정리해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예시를 들어 고철 거래 시 부가세 신고를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고철 거래 부가세 신고 일반 거래와 무엇이 다를까?

 

일반적인 재화 거래에서는

  • 판매자가 세금계산서를 발행하고,
  • 구매자가 물품대금 + 부가세를 판매자에게 지급한 뒤,
  • 판매자가 받은 부가세를 다음 부가세 신고 때 국세청에 납부합니다.

 

 

하지만 고철·폐지·중고품 거래에서는 다릅니다.
👉 판매자가 부가세를 납부하지 않고, 구매자가 국세청에 직접 납부해야 합니다.

이를 매입자 납부특례 제도라고 합니다.

 

 


 

2. 고철 거래 부가세 신고 예시로 보는 돈의 흐름 (공급가액 3,600만 원)

 

 

  • 세금계산서 발행금액 : 공급가액 36,000,000원 + 부가세 3,600,000원 = 39,600,000원
  • 실제 대금 흐름
    • 판매자 계좌 입금 : 36,000,000원(공급가액)
    • 국세청 계좌 납부 : 3,600,000원(부가세)

즉, 판매자는 공급가액만 받고, 부가세는 구매자가 자동으로 국세청에 납부하게 됩니다.

 

 


 

3. 고철 거래 부가세 신고 판매자 부가세 신고 방법

 

세금계산서를 발행했기 때문에 매출세액은 신고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미 매입자가 부가세를 납부했으므로 판매자는 실제로 세금을 내지 않습니다.

 

 

📌 신고서 반영 예시

  • 과세표준(매출) : 36,000,000원
  • 매출세액 : 3,600,000원
  • 매입자 납부특례 기납부세액 : 3,600,000원
  • 최종 납부세액 : 0원

 


 

 

4. 고철 거래 부가세 신고 구매자 부가세 신고 방법

 

 

구매자는 물품대금을 지급할 때 부가세를 국세청에 직접 납부했습니다. 따라서 부가세 신고 시 다음과 같이 처리합니다.

  • 매입세액(공제 대상) : 3,600,000원
  • 국세청에 납부한 금액과 동일하게 매입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으므로, 실질적인 세금 부담은 없습니다.

 


 

✅ 고철 거래 부가세 신고 정리

 

  • 판매자(고철 판매) : 공급가액만 받고, 세금계산서 발행 시 매출세액은 잡히지만 “매입자 납부특례 기납부세액”으로 반영해 실제 납부세액은 0원.
  • 구매자(고철 매입) : 부가세를 국세청에 직접 납부하지만, 매입세액 공제로 처리되어 순부담 없음.

 

즉, 고철 거래에서는 세금계산서상으로는 부가세가 표시되지만, 실질적으로는 구매자가 대신 납부하고, 양쪽 모두 세금 부담은 없는 구조입니다.

 


 

👉 고철이나 재활용 자원 거래를 하시는 분들은 반드시 매입자 납부특례 처리 방식을 숙지하시고, 부가세 신고 시 “기납부세액” 반영 여부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