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해삼 채취를 위한 필수 가이드

by 13241 님의 블로그 2025. 4. 30.

 

✅ 1. 채취 가능한 지역 찾기

해삼은 전국 바다에 다 있지만, 특히 다음 지역에서 채취에 적합합니다:

지역                                                                          설명

 

강원도 고성 ~ 삼척 수심이 얕고, 암반 해역 많음
경북 울진 ~ 포항 깨끗한 수질, 자연산 해삼 서식
경남 통영·거제 바위 많은 해안선과 해삼 양식장 근처
전남 여수·완도 조간대와 암반지형 잘 발달
제주도 북부·동부 해안 용암지형 암반 지역에 해삼 풍부

※ 반드시 지자체 허가 지역에서만 채취하세요. 무단 채취는 불법입니다.


🕒 2. 최적의 시기 & 시간

  • 시기:
    ▶ 3월 ~ 5월, 10월 ~ 11월
    → 여름철은 산란기라 대부분 **금어기(채취 금지)**입니다.
  • 시간대:
    ▶ 간조 시간대(썰물 때)
    → 하루 두 번 있는 썰물 시간에 바닷물이 빠지며 바닥 드러남
    물때표(예: 국립해양조사원 물때표 앱) 확인 필수

 

 


 

 

🧤 3. 필요한 장비

도구용도
고무장화 / 아쿠아슈즈 미끄러짐 방지, 발 보호
면장갑 / 고무장갑 해삼 안전하게 잡기
망사 바구니 / 양동이 채취 후 보관
스노클 & 수경 (선택) 얕은 바닷속 관찰 가능
갈고리 / 짧은 집게 (선택) 깊숙한 틈 사이 해삼 꺼낼 때 사용

 

 


 

 

🔎 4. 해삼 잘 찾는 요령

  1. 바위 밑, 해조류 주변을 중점적으로 관찰
  2. 움직이지 않고 납작하게 붙어 있는 생물에 주목
  3. 갈색~적갈색, 울퉁불퉁한 표면, 만지면 쪼글쪼글하게 수축함
  4. 촉수가 안 보이면 양끝이 뾰족하고 미끄러운 오이처럼 생김
  5. 잡을 때는 조심히, 너무 세게 쥐면 체내 내장을 내뱉음 (스트레스 반응)

 


 

 

⚠️ 5. 법적 주의사항

  • 채취 금지 기간: 대부분 해삼은 6~8월 금어기
    → 지역별로 다르니 지자체·수산청 홈페이지 확인
  • 허가 없이 대량 채취 금지
    → 하루 1인 기준 약 1~2kg 이하만 가능 (지역 차이 있음)
  • 스쿠버 장비 이용한 채취는 면허 필요
  • 무단 채취 시, 수산자원관리법 위반으로 처벌 가능
    → 벌금 또는 형사처벌

 


 

 

📌 TIP. 채취 전 체크리스트

  • 지역 어촌계·지자체에 채취 가능 여부 문의
  • 물때표 확인 후 썰물 시간에 방문
  • 장비 준비 완료 (장화, 장갑, 통 등)
  • 채취 후 생존 확인 → 집에 가져갈 땐 해수를 함께 담기
  • 귀가 후 해삼 손질 및 섭취는 위생에 주의

 

 

🗺️ 전국 지역별 해삼 채취 가능지 & 특성

지역                     주요 해삼 채취지                    특징 및 참고사항

 

강원도 고성, 속초, 양양, 강릉, 삼척 수심 얕고 암반 많음. 겨울 해삼 품질 우수. 조심스러운 접근 필요.
경북 울진, 영덕, 포항 조간대가 넓고 해수 맑음. 수산자원보호구역 확인 필요.
경남 통영, 거제, 남해 해삼 양식장 많아 채취 체험도 가능. 불법 채취 단속 강화됨.
전남 여수, 완도, 고흥, 진도 해조류 많은 곳에 서식. 완도는 해삼이 많이 잡히기로 유명.
부산 기장군 일대, 송정, 다대포 기장 앞바다에 암반 지역 분포. 일부 지역은 어촌계 관리구역.
제주도 조천, 구좌, 성산, 한림 용암 지형 특성상 바위 틈에 해삼 서식 많음. 물때 맞추기 중요. 관광 겸 체험에 좋음.
인천·충남 강화도, 태안, 서산 서해안은 해삼 분포 적음. 일부 양식장 운영지 있음. 자연 채취는 매우 제한적.

※ 각 지역 어촌계 또는 지자체 수산과에 문의 시, 정확한 채취 가능 해역금어기 확인 가능

 

 

 


 

 

🔧 해삼 손질법 (집에 가져온 후)

해삼은 신선할수록 맛이 뛰어나며, 손질이 까다롭지 않지만 위생을 위해 주의해야 합니다.

손질 순서

  1. 깨끗한 해수나 소금물로 헹굼
    • 바닷모래, 찌꺼기 제거
  2. 칼집을 넣어 배를 갈라내기
    • 해삼의 중앙부를 따라 가볍게 칼집
    • 내장(창자) 제거 → 일부 지역은 젓갈로 사용
  3. 이물질 제거 후 흐르는 물로 재세척
    • 표면의 점액질도 제거 (가볍게 문지르기)
  4. 먹기 좋게 썰기
    • 얇게 썰수록 식감이 좋음
    • 초고추장/와사비 간장 등에 찍어 먹기

 

 

🧊 해삼 보관법

보관 방법설명

 

냉장보관 (1~2일) 깨끗이 손질한 후 밀폐 용기에 넣어 0~4℃ 냉장 보관. 하루 이내 섭취 권장.
냉동보관 (2~3주) 손질 후 소금물에 담근 채 냉동 → 식감 조금 줄지만 가능. 밀폐용기 사용.
건해삼 만들기 (장기보관) 끓는 물에 데친 후 건조시켜 건해삼 보관 (전문 장비 필요). 최대 1년 가능.
해수와 함께 보관 (단기) 채취 직후 해수에 담가 이동. 24시간 이내 손질 필수.

 

 


 

 

📌 해삼 채취 팁 요약

  • 물때표 필수 확인 → 썰물 때 나가세요.
  • 장화, 장갑, 통 준비 → 맨손은 위험!
  • 바위 밑, 해조류 주변 집중 탐색
  • 채취 후 바로 손질 또는 냉장보관
  • 금어기 및 채취 가능 구역은 반드시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