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 거주하는 청년이라면 올해도 어김없이 ‘문화생활을 단돈 1만원으로’ 누릴 수 있는 기회가 찾아왔습니다. 바로 **‘2025 부산 청년만원+문화패스’**입니다. 이 글에서는 지원 자격, 신청 방법, 예매 절차, 주의사항 등을 실제 앱 사용 기준으로 하나씩 설명해 드리며, 신청 전 꼭 알아야 할 포인트도 정리합니다.
📌 부산 청년만원+문화패스 사업 개요
항목 | 내용 |
사업명 | 2025 부산 청년만원+문화패스 |
지원대상 | 주민등록상 부산 거주 청년 (1986 |
선정 인원 | 선착순 8,500명 |
지원 혜택 | 지역 우수 문화공연을 1만원에 관람 가능 (최대 10만원 상당, 1인 1회 예매) |
예매 방식 | 공연 티켓 예매 시 본인 1만원 부담, 나머지 차액은 기획사에 별도 지급 |
운영 앱 | ‘부산이즈굿 동백전’ 앱을 통해 신청 및 예매 진행 |
🗓️ 부산 청년만원+ 문화패스 신청 기간
- 2025년 5월 28일(수) 오전 10시부터 선착순 접수 시작
- 조기 마감 가능성이 높으므로, 알람 설정 필수
👤 부산 청년만원+ 문화패스 신청 자격
- 1986년 1월 1일 ~ 2007년 12월 31일 사이 출생자
- 현재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부산광역시’**인 경우만 해당
- 반드시 부산이즈굿 동백전 앱 설치 및 카드 발급 완료자여야 함
📱 부산 청년만원+ 문화패스 신청 방법
1. 필수 사전 준비
- ‘부산이즈굿 동백전’ 앱 설치 또는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 부산은행 동백전 카드 및 디지털 시민증 발급 신청 완료
2. 신청 절차
- 앱 실행 → [정책자금 신청] 메뉴 선택
- ‘부산청년만원+문화패스’ 항목 선택
- → ‘선착순 신청’ 클릭
- → 서비스 정보 이용 동의
- → 이름, 생년월일, 주소 등 개인정보 입력
- → 선착순 8,500명 이내일 경우 신청 완료 메시지 확인
✅ **[My 플랫폼 > 정책자금 신청 현황]**에서 신청결과 확인 가능
✅ 선정 시 "축하합니다" 메시지가 뜸
🎫 부산 청년만원+ 문화패스로 공연 예매 방법
공연 예매는 6월 오픈 예정 목록부터 가능
좌석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음
예매 절차 요약
- ‘부산이즈굿 동백전’ 앱 실행
- → [동백전 1만원 충전]
(캐시백만 사용 가능 / 캐시백+현금 혼용 불가) - → 정책자금신청 메뉴에서 문화패스 사용 가능 공연 확인
- → 공연 선택 → 인터파크 연동
- → 인터파크에서 좌석 선택 및 1만원 결제
(결제 수단은 반드시 부산은행 동백전 카드)
🎯 부산 청년만원+ 부산패스 주의사항 총정리
항목 | 주의 사항 |
충전 방식 | 반드시 캐시백 포인트로 1만원 충전 (현금 혼용 불가) |
결제 카드 | 부산은행 동백전 카드만 가능 (타 카드 불가) |
신청 제한 | 1인 1회 예매만 가능 (최대 10만원 상당 공연 1건) |
신청 실패 | 선착순 마감 시 자동으로 접수 종료 |
공연 마감 | 공연 예매는 잔여 좌석 기준, 조기 매진 가능성 있음 |
🔎 부산 청년만원+ 문화패스 자주 묻는 질문 (FAQ)
Q. 부산 이외 지역 거주자는 신청이 불가능한가요?
네,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부산인 청년만 신청 가능합니다.
Q. 캐시백이 부족하면 현금을 더해 충전할 수 있나요?
아닙니다. 캐시백만으로 정확히 1만원 충전해야 하며, 혼용은 불가합니다.
Q. 예매는 반드시 ‘인터파크’에서 하나요?
네, 앱에서 공연을 선택하면 인터파크로 자동 연동되어 예매가 진행됩니다.
Q. 공연 날짜는 언제부터 확인할 수 있나요?
6월 공연 목록 오픈일에 앱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 부산경제진흥원 문의처
- 부산경제진흥원 문화사업부
- 전화번호: ☎ 051-241-7865 / 7866 / 7867
- 문의 시간: 평일 09:00 ~ 18:00
📎 부산이즈굿 외 공식 신청처 및 관련 앱
✅ 요약 키포인트
- 🎟 8,500명 선착순!
- 🎭 부산 청년이면 누구나 지원 가능
- 💳 동백전 카드 필수, 캐시백만 가능
- 🎫 1회 예매, 1만원 자부담
- 🕘 2025년 5월 28일 오전 10시 시작